17-01-10 14:02 조회 2,656회
사망률이 높아 이른바 '절망의 암'으로 알려진 췌장암의 생존율이 15년새
사망률이 높아 이른바 '절망의 암'으로 알려진 췌장암의 생존율이 15년새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암 투병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김송철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간담도췌외과 교수팀은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췌장암 수술환자 1656명을 대상으로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열린 대한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연구팀은 췌장암 수술환자를 2000∼2004년(201명), 2005∼2009년(545명), 2010∼2014년(910명)으로 5년 단위로 나눠 구분하고 1년·2년·3년·5년 생존율 추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암의 완치를 뜻하는 5년 생존율은 △2000∼2004년 12.4% △2005∼2009년 17.2% △2010∼2014년 26.8%로 15년만에 2배가 넘는 큰 증가율을 보였다.
1년 생존율 역시 같은 기간 61%에서 80.2%, 3년 생존율은 18.4%에서 36.9%로 증가해 단기 생존율에서도 확연한 변화가 확인됐다.
중앙암등록본부에 등록된 국내 모든 췌장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이 지난 20년 동안 7.6∼9.4%로 한 자릿수에 머물며 큰 변화가 없는 것과 다르게, 췌장암 수술 치료 성적은 크게 향상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절망의 암' 췌장암 생존률 배 이상 높아졌다
또 이번 연구에서는 췌장암 병기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1기 생존율이 3기보다 3.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췌장암의 병기는 보통 암의 크기, 임파선의 전이 정도, 다른 장기로의 전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구분된다. 암이 주변으로 침범하지 않고 췌장에만 국한된 췌장암 1기의 5년 생존율은 52.4%(암의 크기가 2cm 미만)와 47.5%(암 크기가 2cm 이상)로 나타나 전체 수술환자 5년 생존율인 26.8%를 상회했다.
주변 장기로의 침범이 보이는 췌장암 2기의 경우 임파선 전이가 없을 때는 30.4%를 보였으나, 임파선 전이가 있으면 14.0%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주요 동맥 혈관을 침범해 국소적 진행이 된 췌장암 3기는 14.0%로 역시 낮았다.
연구팀은 "췌장암은 병기가 1기라도 다른 암들에 비해 생존율이 매우 낮다"며 "그러나 3기에 비해서는 1기일 때 생존율이 3.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췌장암, 별다른 증상없고 조기발견 쉽지 않아…암 진행속도 빨라
문제는 췌장암은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조기발견이 쉽지 않고, 암의 진행 속도가 빨라 환자가 진단을 받았을 땐 이미 주위 혈관과 임파선 등에 전이가 된 상태라는 점이다.
실제 수술을 받은 환자를 보면 조기발견으로 볼 수 있는 췌장암 1기 환자는 전체의 4%에 그쳤고, 주변 장기로의 침범이 보이는 췌장암 2기가 90%대로 절대적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연구팀이 2000년부터 지난 4월까지 췌장암 수술환자 2029명의 병기별 분포 추이를 분석한 결과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췌장암 환자 746명의 병기별 분포를 보면 1기는 3.2%에 그쳤고 2기는 89.6%로 가장 많았다. 3기는 2.9%, 4기는 4.3%로 나타났다. 2010년부터 2016년 4월까지 1283명 환자 역시 2기가 91%로 가장 많았으며 1기는 4.2%, 3기는 0.9%, 4기는 3.9%로 확인됐다.
김송철 교수는 "췌장암 완치는 유일하게 수술로 가능하다"며 "췌장암의 주요 원인인 흡연·비만·당뇨·만성췌장염·가족력 등을 가진 고위험군은 정기 검진 등을 통해 췌장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도록 신경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췌장암 예방 및 조기진단을 위한 생활 지침을 잘 따르면 절반 이상의 췌장암 환자를 구제할 수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노동영 대한암협회 회장(서울대병원)은 "금연과 건강한 식생활을 하면서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정기적으로 적절한 검진을 받으면 충분히 췌장암을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췌장암도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포함한 치료를 받는다면 완치율이 10% 미만보다 크게 높일 수 있는 만큼 대국민 인식 개선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서울시 중구 충무로 3가 49번지 엘크루 메트로시티 5층 510호 | Tel : 02-2263-5110 | Fax : 02-2263-5118
고유번호 : 208-82-03664 | 대표자 : 노동영 | E-mail : kcs@kcscancer.org
Copyright Ⓒ 2016 사단법인 대한암협회 All Rights Reserved.
Tel. 02.2263.5110
Fax. 02.2263.5118
am 09:00 ~ pm 06:00
Lunch pm 12:00 ~ pm 01:00